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교육현장의 시급한 문제 또 있습니다. <br> <br>학생이 없어서 사라지는 학교, 이제 지방 소도시에서만 일어나는 일이 아닙니다. <br> <br>서울의 공립 고등학교도 신입생이 부족해 폐교를 하는 운명에 놓였는데요. <br> <br>저출산이 가져온 안타까운 현실을 제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얼마 전 폐교가 결정된 서울 도봉고등학교입니다. <br> <br>[서울 도봉고 학생] <br>폐교 소식 들었을 때 아 이게 맞나 싶었고, 억울하긴 했는데 뭐 어쩔 수 없죠. 현실이라는 걸 받아들여야죠. <br><br>이곳 도봉고에 작년에 들어온 신입생은 63명, 올해는 불과 45명의 신입생만 입학했습니다. <br> <br>현재 전교생 수는 159명인데요. <br> <br>학교 운영이 불가능해질 정도로 신입생이 급감하자 2024년 폐교하기로 결정됐고, 1학년은 전원 전학을 갔습니다. <br><br>5년 전, 시끌벅적했던 학교는 학생이 줄어들면서 썰렁해졌고, 다른 학교로 전학조치 된 1학년 학생들은 원치 않은 혼란을 겪어야 했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(여기 도봉고에서 전학온 친구 있어요?) 여기요. <br> <br>[도봉고 전학생] <br>(어땠어요? 갑자기 전학 결정됐을 때) 불안하긴 했는데. 애초에 인원수를 조금만 받으려면 (학생을) 안 받았어야 되지 않나. <br><br>[도봉고 전학생] <br>하늘이 무너졌어요. 도봉고 배정되고 인원수 듣고 그랬어요. <br><br>인구 감소로 서울에서 초등학교와 중학교 4곳이 사라졌거나 폐교 예정인 가운데, 도봉고는 일반계 고등학교가 폐지되는 첫 사례입니다. <br> <br>[도봉고 관계자] <br>서울에서도 보통 심각한 문제가 아니죠. 저출산이 보통 문제가 아니죠. 개교할 땐 한 반에 40명씩 됐었어요. 너무 안타깝죠. <br><br>서울 시내 폐교 위기에 놓인 학교도 최소 4곳으로 늘었습니다. <br> <br>서울 송곡여자중학교는 최근 이사회의 폐교 논의로, 학생과 교직원, 학부모가 반대 집회에 나서는 등 술렁이고 있습니다. <br> <br>[송곡여고 법인 관계자] <br>(전교생) 300명 이하는 폐교·통폐합 기준입니다. 그런데 저희는 몇 년 전부터 200명 미만이고 지금은 (학생수가) 176명 정도입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반대한다, 반대한다, 반대한다!" <br> <br>[송곡여중 졸업생] <br>(모교가 폐교되는 것인데 그 소식 듣고 어땠어요?) 선생님들은 실직 위기에 놓이신 거잖아요. 애들도 얼마 안 남았고 폐교 하려고 하긴 하는 건데. 모교가 사라지는 것이니까. <br> <br>[송곡여중 학부모] <br>우는 아이도 있었어요. 친구들이 놀린다는 거예요. "너네 학교 폐교된다며. 그런 학교 왜 다녀." <br> <br>저출산이 드리운 그늘에 모교를 잃어버리는 아이들이 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서울 도봉고 학생] <br>폐교 당하면 다시 여기 올 수도 없을 것이고 제 학교가 사라져서 제 후배들도 이제 다 없을 것이고. 그게 너무 슬펐어요. <br> <br>여인선이 간다였습니다. <br><br>제작 : 박희웅, 김인혜 <br>섭외 : 강전호<br /><br /><br />여인선 기자 insun@ichannela.com